INFORMATION

반응형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신청방법/특고 프리랜서 일용직 생활비 지원

근로기준법상 유급병가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분들을 대상으로 서울시에서는 유급병가지원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부터는 기존 지원내역을 개정하여 11일에서 최대 14일까지 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지원대상과 지원내역, 신청기한,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01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대상과 지원내역

02 서울형 유급병가 신청기한과 신청방법

 

▶ 블로그내 관련글

 

특수고용직 생활안정자금대출 소득기준과 신청방법

특수고용직 생활안정자금대출 소득기준과 신청방법 특수고용직(특수형태근로종사자)분들에 대한 정부지원 생활안정자금대출의 지원요건이 매우 완화되었습니다. 기존에는 특수고용직 일부직

siktami.tistory.com


 서울형 유급병가 지원대상과 지원내역

서울형 유급병가지원제도이기 때문에 서울시 거주중인 분들이 대상이 되며,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여야 합니다. 소득과 재산 기준도 적용이 되는데요.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하고, 재산은 2억 5천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소득 및 재산에 대한 판단은 정부에 등록된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하게 되며, 필요한 경우 증빙자료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기초수급자로 생계급여나 의료급여 수급을 하시는 분들은 지원을 받을 수 없고, 실업급여나 산재보험 수급자도 지원대상에서 제외가 되니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분들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표에 나온 소득액을 확인하셔서 월 소득액이 표에 나온 금액 이상이라면 지원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 유념해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지원대상은 일용근로자, 특고, 프리랜서, 1인 자영업자(영세 자영업자)분들이 주요대상이 되며, 입원과 치료 때문에 일하지 못하는 기간을 산정하여 1일 85,610원을 급여로 지원하게 됩니다. 최대 14일까지 지원이 되고, 연간 최대 지원받을 수 있는 있는 금액은 119만 8,540원이라고 합니다.

 

 서울형 유급병가 신청기한 및 신청방법

퇴원 후 또는 검진 후 6개월 내로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만약 기간내에 신청을 못하실 사유가 있으시다면 주민센터나 보건소에 문의하셔서 기간을 연장하시면 60일까지 신청기간이 연장된다고 합니다.

주소지 주민센터나 보건소에서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전화로 문의 후 신청하시기 바라며, 신청 후 1개월 내로 지원금이 지급된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